일자리

SK반도체클러스터 급식 납품 논란… 협약 무력화 배경에 ‘유착 의혹’ 고조

Job_Start 2025. 4. 9. 23:29

용인 원삼면지역발전협의회(이하 원지회)가 SK하이닉스 용인반도체클러스터 현장의 급식 납품 구조에 개입하며 상생협약을 사실상 무력화한 것으로 드러나, 지역 사회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외부업체에 대한 납품 권한 이전, 외지산 쌀 사용 확대, 기타 식자재 납품 구조 개편 등 일련의 행보가 연이어 밝혀지며 이권 개입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일련의 결정들이 지역 단체만의 독자적 판단으로 가능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SK하이닉스와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가 조성하는 122조 원 규모의 국가산단 현장에서, 공식 협약 사항을 위반하는 식자재 납품 구조 변경이 실제로 가능했다면, 이를 사전에 인지하거나 묵인한 내부 관계자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2021년 체결된 상생협약에 따르면, 현장 급식에는 용인백옥쌀과 안성쌀 100%, 기타 농산물은 80% 이상 지역산을 사용할 것을 명시했다. 그러나 최근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후니드(급식운영업체)가 수원의 민간 영농법인을 통해 외지산 쌀을 공급받고 있으며, 실제로 쌀 공급의 70%가 충남산으로 변경될 예정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역 주민 사이에서는 “이 같은 합의 위반이 해당 지역 협의회만의 결정일 리 없다”는 반응이 확산되고 있다.

납품 단가 역시 문제가 되고 있다. 기존 지역 미곡종합처리장(RPC)보다 약 20% 높은 가격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기업의 손해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해당 산업단지를 조성 중인 국가 및 지자체의 예산 낭비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 나아가, 일부 식자재뿐 아니라 매점 운영권 등 다른 부문에서도 유사한 이권 개입 정황이 포착되면서, 납품과 유통을 둘러싼 전반적인 구조에 대한 감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사안은 단순한 내부 행정 문제를 넘어, 민간기업과 지역 단체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유착 가능성에 대한 경고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원지회는 “일부 간부의 독단적 결정이었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에서는 회장 개인의 사퇴로 끝낼 문제가 아니라며 구조적 원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용인시는 뒤늦게 상생협약 준수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강제할 권한은 제한적이다.

이런 배경에서 시민사회와 일부 관계자들은 “이번 사안이 SK 및 협력사 내부의 관리 시스템과 전혀 무관하게 이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더불어 상생협약을 파기하는 결정이 어떻게 별다른 제동 없이 진행될 수 있었는지도 의문이다.

이번 논란은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추진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에서 감시와 견제, 상생의 실질적 작동 여부를 다시 한 번 되짚게 한다. 용인시는 물론, SK하이닉스와 SK에코플랜트 역시 이번 사안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SK하이닉스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상생협약파기 #지역농산물 #백옥쌀논란 #납품구조변경 #이권개입의혹 #유착의심 #SK에코플랜트 #공공개발감시 #지방협의회논란 #지역상생감사요청 #공정급식납품 #용인시행정 #공동협약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