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소식

철강산업 위기 가속…포스코연대 ‘정부는 실효적 대책 내놔야

Job_Start 2025. 5. 19. 21:51

 

국내 철강산업이 복합적인 구조 위기에 빠진 가운데, 포스코그룹 계열사 노동조합으로 구성된 ‘포스코연대’가 정부에 실질적인 정책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연대 측은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 탄소중립 기술 개발(R&D) 지원 등 현실적인 대책이 없다면 철강산업 전체의 경쟁력이 급속히 약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포스코연대는 지난 5월 8일 전남 광양제철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간담회를 열고, 철강업계가 처한 구조적 문제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간담회에는 박강원 포스코연대 지도위원(한국노총 비정규노동조합연대 본부장)을 비롯해 포스코 및 계열사 노동조합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정치권에서는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과 권향엽·주철현 의원이 함께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철강산업이 탄소중립 정책 이행에 따른 막대한 설비 투자 부담, 고환율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이른바 ‘삼중고’에 놓여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까지 겹치며 기업의 경영환경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언주 의원은 간담회에서 “철강산업이 무너지면 방위산업, 조선, 기계 등 국가 기간산업 전체가 연쇄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며 “중국의 급속한 추격 속에서도 정부의 대응은 지나치게 미온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기요금과 원자재 가격 상승은 철강업계의 원가 경쟁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으며, 이미 가동률 저하로 그 여파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포스코연대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 탄소중립 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 재정 지원,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에 대한 무역 정책 정비, 노사정 협의체 구성 등 4가지 핵심 요구사항을 제시하며 정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이 같은 요구는 5월 14일 포항에서 발표된 공식 성명서로도 이어졌으며, 성명에서 연대는 “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실효적인 정부 대책이 없다면 철강산업 전반의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박강원 포스코연대 지도위원은 “철강산업은 단순한 제조업이 아니라 국가 산업 경쟁력의 중추로서, 정부가 산업 정책 방향을 재정립하고 구조 개편과 재정적 지원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이 아니면 회복이 어려운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포스코연대는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의 공식 면담을 추진 중이며, 필요 시 추가 행동에도 나설 계획이다. 철강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국가 산업 기반을 지키기 위한 이들의 요구가 어떤 정책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포스코연대 #철강산업위기 #전기요금인하 #탄소중립R&D #정부지원요구 #국가기간산업 #노사정협의체 #무역정책 #중국산철강 #산업정책전환 #포스코노조 #박강원지도위원 #노동조합연대 #한국노총 #광양제철소 #포항제철소 #탄소중립정책 #그린전환 #지속가능업 #POSCOUnion #SteelIndustryCrisis #ElectricityTariff #CarbonNeutrality #IndustrialPolicy #LaborSolidarity #GovernmentSupport #KoreanSteel #TradePolicy #GreenTransition #ManufacturingCrisis